사실 돌아가게끔만 만들 수 있는 능력은 거의 모든 개발자들이 가지고 있는 소양이다.
하지만 서비스가 안정적이고 고가용적으로 유지되도록 설계하고 구현하는 능력을 가진 개발자는 별로 없다.
애초에 그렇게 트래픽이 많은 서비스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.
더 높은 차원의 개발자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대규모 시스템의 아키텍쳐에 대해 공부해야겠는 생각이 들었다.
아마 공부를 해도 당장 실무에서 쓸 기회는 없겠지만
그래도 대규모 트래픽을 다룰 수 있는 개발자라는 타이틀이 갖고 싶었다.
강의 하나 듣는다고 이 능력을 마스터할 수는 없겠지만
앞으로 개발자로서의 역량을 키우고 새로운 기회를 위한 발판이 되길 바랬다.
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- 게시판 강의 | 쿠케 - 인프런
쿠케 | , IT 서비스 대기업 개발자의 대규모 시스템 실전 개발 노하우!본 강의는 대규모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적 지식과 방법론을 설명하고, 스프링부트로 직접 코드를 작성하며 만들어봅
www.inflearn.com
이 강의를 통해
MSA, 스프링부트 멀티모듈 세팅, 테스트코드 작성법,
Redis, Kafka, 캐시 전략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되었다.
Redis와 Kafka를 왜 쓰는지, 어떻게 쓰는지 되게 막연하게 느껴졌었는데,
강의를 통해 개념이 명확하게 잡힌 것 같다.
다양한 기술을 다루는 만큼 강의가 꽤 긴 편인데,
섹션마다 새로운 기술과 개념을 배워서
지루하지는 않았다.
가격대가 좀 높은 편인데
멀티모듈, Redis, Kafka, 테스트코드 등의 개념을 모두 배울 수 있어서
돈이 아깝다는 생각은 안든다.
나는 깃허브에 레파지토리를 파고
강의를 따라하며 수업을 들었는데,
나중에 멀티모듈이나 레디스, 카프카 환경을 구축해야될 때
보일러플레이트코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거 같다.
GitHub - yooputer/MSA-board: [인프런] 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- 게시판
[인프런] 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- 게시판 > 을 수강하며 정리한 코드입니다 - yooputer/MSA-board
github.com
RAM을 내주고 성능을 얻는 Redis에 대하여.. | 레디스의 특징 및 단점 (0) | 2025.04.15 |
---|---|
인덱스 만들었다고 안심하면 안되는 이유 | 페이징 쿼리 성능 개선 (0) | 2025.04.02 |
[시스템 아키텍처] Monolithic Architecture vs MSA(Microservice Architecture) (0) | 2025.03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