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포스팅에서는 rds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프로젝트에 연동해보고
ec2 인스턴스를 생성해보도록 하겠다
https://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/console/home?region=ap-northeast-2
https://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/console/home?region=ap-northeast-2
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
RDS 서비스로 이동 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
dbms는 MySQL을 사용한다
프리티어 템플릿을 선택했다
DB 인스턴스 이름과 관리자 이름, 암호를 입력한다
퍼블릭 액세스를 허용한다
생성이 완료된 후 엔드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
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rds에 접속한다
mysql -h <엔드포인트> -u wp_admin -p;
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
application.properties를 다음과 같이 수정하고 프로젝트를 실행해보면
rds에 테이블이 잘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연동 끝!
ec2 서비스로 이동해 인스턴스를 생성한다
인스턴스 이름을 withparents-server라고 하고
OS 이미지는 Amazon Linux를 선택했다
인스턴스 유형은 t2.micro(프리티어라서 어쩔 수 없으셈...)
새로운 키페어를 생성한다
다운받은 키파일은 소중한 곳에 보관한다
네트워크 설정은 HTTP, HTTPS 트래픽을 허용했다
스토리지는 8기가
부족하면 나중에 늘려야지
인스턴스가 생성된 후 탄력적 IP를 할당해야한다
탄력적 IP 주소를 하나 만들고
방금 만든 인스턴스에 연결한다
앞으로 이 IP주소를 통해 ssh 연결을 할 예정이다
앞으로 편하게 ssh 접속을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들을 수행한다
아까 다운받은 pem 파일을 ~/.ssh 에 복사한다
cp <pem파일 위치> ~/.ssh
그리고 pem파일의 접근권한을 수정한다
sudo chmod 400 ~/.ssh/with_parents.pem
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고
vi ~/.ssh/config
다음과 같이 작성한다
HostName엔 아까 할당받은 탄력적 IP주소를 입력하면 된다
이제 터미널에서 ssh wp를 입력하면 편하게 ec2에 접속할 수 있다
[WithParents] SpringSecurityConfig 작성 | JWT Token 생성 메서드 작성 (0) | 2023.01.16 |
---|---|
[WithParents] SpringSecurity 적용하기 (0) | 2023.01.13 |
[WithParents] 오늘의 약알림 조회 기능 구현 | getTodayMedicationList api 구현 (0) | 2022.12.02 |
[WithParents] 약알림 조회 기능 구현, getMedicationList api 구현 (1) | 2022.12.02 |
[WithParents] 약알림 삭제 기능 구현, deleteMedication api 구현 (0) | 2022.12.02 |